## 해당 TIL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면서 얻은 학습 내용과, 시행착오 등등을 종합해서 작성한것임
GitHub - Oz-player/oz_player
Contribute to Oz-player/oz_play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MUOZ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새롭게 생각해야 될게 많았고, 너무 정신이 없던 나머지 TIL 작성을 약간 미루었던거 같다..
TIL 작성할 만한 부분은 꽤 있었는데, 시간에 쫓겨서..
약 2~3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있었던 TIL 부분들을 한번에 우다다다 쏟아내 보고자 한다.
1. Sentry 란?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 Error Tracking Software
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for developers & software teams to see errors clearer, solve issues faster & continue learning continuously.
sentry.io
Sentry는 애플리케이션의 오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모니터링하는 도구형 웹사이트이다.
에러가 발생하면 알림을 받을 수 있고, 에러에 대한 상세 정보를 트래킹할 수 있게끔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파이어베이스 크래시틱스를 사용하지 않고 Sentry를 사용해 보았다.나름대로 현업에서 많이 사용되는 트래킹 도구라고 하기에, 경험해 보는겸 사용해 보기로 하였다.
파이어베이스 크래시틱스는 30~60 분 동안 집계한 후 일괄적으로 오류 집계를 보내주는 것이라면,
Sentry는, 실시간으로 에러 트래킹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2. 사용법
우선 Sentry 사이트에 로그인을 해야 한다.사용한 적이 없으면 회원가입이나, 구글로그인 등으로 가입을 하자.
정상적으로 가입을 하게 되면, 이제 Sentry를 사용할 프로젝트를 선택하자
이 절차까지 마치고 나면, Sentry 프로젝트가 생성되고,
Sentry를 적용시키는 방법을 자체적으로 안내해 준다.
안내해 주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데,
우선 Sentry_sdk 를 설치한다.
// Terminal
flutter pub add sentry_flutter
이후 main.dart에 runApp 전, Sentry init을 사용해주면..
가장 기본적인 Sentry 트래킹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main.dart
await SentryFlutter.init(
(options) {
options.dsn = 'DSN 코드 입력';
options.tracesSampleRate = 1.0;
options.profilesSampleRate = 1.0;
},
appRunner: () => runApp(
SentryWidget(
// Riverpod을 사용하는 경우 이런식으로 사용하면 됨
child: ProviderScope(child: const MyApp()),
),
),
);
Sentry가 프로젝트의 오류를 트래킹 하는 모습이다.
개발중인 과정이라, Crash 떠있는 지표가 보이지만.. 뭐 이건 개발중 오류를 잡는 과정이니까 ㅎㅎ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려면
일부러 try-catch를 사용해서 오류를 의도적으로 throw 해보자!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MUOZ (7) (IOS 앱 심사 리젝 사유 - 2) (0) | 2025.02.13 |
---|---|
TIL - MUOZ (6) (IOS 앱 심사 리젝 사유 - 1) (0) | 2025.02.12 |
TIL - MUOZ (4) (Riverpod의 다양한 Notifier 사용법) (0) | 2025.02.10 |
TIL - MUOZ (3) (Gemini 음악추천) (0) | 2025.02.08 |
TIL - MUOZ (2) (오디오 플레이어 UI) (0) | 2025.02.08 |